자차를 가지고 출장 후 여비 신청할 때, 휘발유 가격 정산 어떻게 하십니까? 명확한 기준이 없어 정산할 때마다 고민이 많으실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인사혁신처 질의 내용에 근거, '자차 출장 연료비, 휘발유 가격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용 요약
1. 자차로 여러 지역을 경유한 경우, 유류비는 전국 평균 유가를 적용합니다.
2. 인사혁신처 질의 답변을 통해 해당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오피넷에서 전국 평균 유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Ⅰ. 공무원 '자차 출장 시 연료비 휘발유 가격' 적용 방법
만약 세종에서 서울로 출장을 가면, 연료비 정산은 어느 지역의 휘발유 가격을 기준으로 산정해야 할까요?
저는 보통 주유한 곳을 기준으로 한 적도 있고, 주유 영수증 단가로 적용한 적도 있습니다. 여비 담당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도 해서 무엇이 맞는지 정확히 몰랐습니다.
사람마다 다르고,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아리송했습니다. 저 같은 사람이 많았는지 인사혁신처에 다음과 같은 질의에서 정확한 기준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1. 인사혁신처 질의와 답변 : 연료비, 휘발유 가격 적용 방법
인사혁신처 유사민원 게시판에 올라온 게시글을 살펴보겠습니다.
1) 인사혁신처 질의 내용(2022. 4. 29.)
출장 시 부득이한 사정으로 인해(출장지가 시외 외진 여러 곳) 자가용 차량을 이용해서 다니고 있습니다. 유류비 청구를 하는데, 유류비(원/L)의 가격을 입력하는 기준이 있을까요?
1. 전국 평균으로 한다.
2. 서울, 경기, 인천을 간다면 서울, 경기, 인천의 평균으로 해야 한다.
3. 실제 주유를 한 서울로 가격을 입력해도 무관하다.
2) 인사혁신처 답변 내용
「공무원 보수 등의 업무지침」(제9장-Ⅳ-2. 운임-라. 국내 자동차 운임 지급기준)에 따라 자가용을 이용하여 공무로 여행하는 경우의 운임은 여행 구간 등급별 철도 또는 버스 운임(통상 이용되는 대중교통요금)으로 지급합니다.
공무의 형편상 부득이한 사유로 자가용을 이용한 경우에는 철도 또는 버스 운임 대신에 연료비 및 통행료 등을 지급할 수 있습니다.
동 지침에 따라 연료비는 [여행거리(km) × 유가 ÷ 연비]로 계산하며, 유가는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서비스에 고시된 출장 시작일 기준 유가를 적용하되, 전국 평균 유가를 적용함이 합리적일 것입니다.
♥ 인사혁신처 질의&답변 자료입니다 ♥
△ 질문-답변 원문으로 출력용 PDF 파일입니다.
2. 결론
위 질의&답변에서 질문자분이 객관식 문제를 내주셨는데, 인사혁신처에서는 "평균 유가를 적용하는 것이 맞다"라는 취지의 답변을 주었습니다. 제 생각에도 '전국 평균 유가를 적용하는 것이 맞다'라고 생각합니다.
금액적인 차이를 떠나 기준은 있어야 되니 말입니다.
앞으로 여러분은 자차 출장 시 연료비 청구할 때 '휘발유 가격'은 출장 시작일 기준 전국 평균 유가를 적용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휘발유가격의 전국 평균 유가는 어떻게 적용해야 할까요? 아래 내용을 체크해 확인 바랍니다.
Ⅱ. 자차 출장 시 연료비 '휘발유 가격' 오피넷 적용 방법
그럼 이제 오피넷에서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을 검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당일 평균 휘발유 가격은 누리집 중앙에 보기 쉽게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출장을 다녀와 며칠 후에 정산을 할 예정이므로 아래 방법을 따라 아래 오피넷 화면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피넷 누리집 평균 유가 확인하기(https://www.opinet.co.kr)
▶국내 유가통계 ▶ 주유소 ▶평균 판매 가격 클릭 ▶출장 시작일 입력 ▶조회
이상으로 '공무원 여비 규정, 자차 출장 연료비 휘발유 가격 적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아래 글 목록의 내용들도 공직 생활에 도움 될 만한 질의 내용 및 궁금했던 사항들로 구성되었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공무원 출장여비에 관련해서 참고할 수 있는 "자료집 2개"를 추천합니다.
아래 두 자료는 **[공무원 여비 업무 Q&A 자료집]**(링크)에서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① 첫 번째는 인사혁신처에서 2022년 11월 제작 배포한 '공무원 여비 100문 100답' 자료집입니다. 편집과 구성이 깔끔하고, 자주 묻는 질문 위주로 정리가 잘 되어 있습니다. 업무에 참고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② 두 번째는 행정안전부에서 2013년에 배포한 '공무원 여비·보수·성과 300문 300답' 자료입니다. 오래된 자료이지만, 공무원 여비 기준이 거의 바뀌지 않아, 여러 차례 도움을 받은 자료입니다. 첫 번째 자료와 함께 자주 보는 자료입니다.
☞ 행정업무운영 편람 | 최신 공문서 지침 [열기 >]
댓글